안녕하세요. 건강백서입니다. 전세계적으로 집먼지 진드기 때문에 고통받는 사람들이 많습니다. 눈에는 보이지 않지만 집먼지 진드기는 침대 매트리스와 카펫, 의자 등에서 서식하며 사람의 각질이나 곰팡이와 같은 물질을 먹는다고 합니다.
그만큼 전세계적으로 분포하고 있으며 피부염과 천식을 일으키는 매개체로 알려져 있습니다. 국내 서식하고 있는 집먼지 진드기는 큰다리 먼지진드기와 세로무늬먼지진드기입니다. 완전박멸이 어렵기 때문에 자주 청소하고 소독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오늘은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기 증상 및 원인,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평소 기침을 자주하거나 피부질환, 천식 등을 앓고 있는 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집먼지 진드기란?
집먼지 진드기는 0.4mm 정도의 크기를 지녀 눈으로 보기 힘든 진드기입니다. 전자 현미경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데 먼지와 각질 1g에 수만 마리의 진드기가 살고 있다고 합니다.
습한 곳을 좋아하고 대부분 침대 매트리스와 카펫, 의자 등 섬유제품 속에서 각질이나 비듬, 먼지 등을 먹으며 살고 있습니다. 집먼지 진드기는 약 15종의 알레르기를 유발하는데 대표적인 증상이 아토피 피부염과 천식, 알레르기 비염입니다.
1) 아토피 피부염
아토피 피부염은 유전이나 환경적인 요인 등으로 인해 발생하는 피부염입니다. 최근 집먼지 진드기와 미세먼지, 환경오염 등으로 아토피를 앓고 있는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그 원인 중 하나가 바로 집먼지 진드기입니다.
아토피 피부염은 매우 심한 가려움증을 유발하고 긁으면 피부 습진이 발생하고 심하면 피가 날 수 있습니다. 아토피를 치료하기 위해선 원인을 파악하고 보습제를 사용해 피부 수분 장벽을 유지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2) 천식
천식은 대표적인 알레르기성 질환으로 기관지가 좁아져 숨이 차고 기침을 하며 쌕쌕거리는 소리가 들립니다. 우리나라 약 5%의 성인이 천식을 앓고 있으며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입니다.
기침과 천명, 호흡곤란 등이 주요 증상이며 폐 기능 검사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알레르기성 질환인 만큼 주변 환경 관리가 매우 중요하며 증상이 심하면 약물치료를 진행하게 됩니다.
3) 알레르기 비염
서울아산병원 연구팀에 따르면 20년간 국내 알레르기 비염 환자가 크게 증가했다고 합니다. 그 원인으로 집먼지 진드기를 지목했습니다.
최근 라이프 스타일의 변화로 집먼지 진드기 서식하기 좋은 환경이 되었고 그로 인해 더 강해졌다고 합니다. 알르레기 비염도 마찬가지로 가장 근본적인 원인을 해결하고 증상이 심하면 약물치료를 통해 개선할 수 있습니다. 1년 동안 치료를 하면 약 70%의 환자가 효과를 본다고 합니다.
집먼지 진드기 예방법
집먼지 진드기를 퇴치하기 위해서 환경적인 요인을 개선하고 서식할 만한 곳을 자주 청소해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1) 온도 및 습도 조절
집먼지 진드기는 고온다습한 환경을 좋아해 실내 온도는 18~23도, 습도는 50% 이하로 유지하는 것이 좋습니다. 날씨가 춥더라도 환기를 자주 해서 실내 공기 질을 맑게 유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2) 카펫과 담요 사용 자제하기
카펫과 담요, 쇼파는 집먼지 진드기가 서식하고 가장 좋은 공간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중요한데 만약 집에 있다면 자주 청소하고 일광소독하시기 바랍니다.
3) 침구류 주 1회 세탁하기
미국 노스캐롤라이나 대학 연구팀에 따르면 침구류 중에서도 베개가 가장 많은 진드기가 산다고 합니다. 주 1회 55도 이상의 물로 고온세탁하면 제거가 됩니다.
4) 자주 청소하기
집먼지 진드기는 앞서 이야기했듯이 사람의 각질과 비듬, 먼지 등을 먹고 사는 진드기입니다. 청소기를 밀고 물걸레로 닦으면 진드기가 먹어야 할 먹이가 사라지면서 자동으로 사멸하게 됩니다.
지금까지 집먼지 진드기 알레르기 증상 및 원인, 치료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평소 기침을 자주 하거나 콧물 등이 자주 났던 분들은 오늘 포스트 참고하여 치료 받으시고 예방하시기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역류성 식도염 증상 및 자연치료 방법, 원인 (0) | 2020.12.13 |
---|---|
굼벵이 효능 및 부작용, 섭취방법 알아보기 (0) | 2020.12.10 |
발뒤꿈치 갈라짐 원인 및 치료법 의심되는 질병은? (0) | 2020.12.07 |
폐기종 증상, 원인, 치료법, 좋은 음식 2가지 (0) | 2020.12.06 |
헤르페스 바이러스 증상 및 원인, 감염경로, 치료방법 알아보기 (1) | 2020.12.04 |
댓글